한 곳은 초음파에서 왼쪽다리 역류가 보인다며 베나실을 추천해주셨고 다른 곳은 약 처방으로 지켜보자고 하셨는데요
병원들끼리도 진단이 다른 이유는 뭘까요. 나름 큰 비용이 드는 수술이라 신중하게 하고 싶은데 저린 증상이 있긴 하거든요.혼란스럽습니다.
새로 초음파를 또 받아봐야 할까요??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진단 기준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병원에서 베나실만 추천한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민트병원 김건우 원장이 답변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민트병원 김건우 원장입니다.
하지정맥류 진단은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진행됩니다.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서 진단은 역류가 1초이상 있는경우에 시술을 권고하게 됩니다. 역류가 1초라는 건 정확하게 서있는 상태에서 종아리를 눌렀다가 땔때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역류의 파형이 1초가 넘어야 한다는 뜻이며, 피부밑의 망상정맥이 아니라 복재정맥이라는 꽤큰혈관의 역류가 있는 경우 시술을 권고해야하고 그럴경우 치료가 효과가 있습니다.
일부 병원에서 누워서 검사하거나 , 망상, 표재정맥의 역류를 측정하여 수술이 필요하다고 과잉진료한뒤 수술을 권하는 사례들이 최근에 많습니다. 꼭 병원급이상의 병원에서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정확하게 받은 뒤 시술여부를 결정하는것이 필요합니다. 또 시술 결정이 된이후에 치료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병원마다 차이가 있어서 혼란스러우실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하지정맥류 수술은 최대한 절개와 조직 손상 없이 원인혈관 (복재정맥)을 폐쇄시키는것이 치료의 근본원리입니다. 절개한후 혈관을 뽑아내는 스트리핑 수술이 아니라면 레이져, 고주파, 베나실, 클라리베인 등의 수술법은 모두 혈관내 정맥페쇄술이라는 근본은 같은 수술법입니다.
하지정맥류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 베나실만 가능한 경우는 없습니다. 제경우에는 발목까지 치료가 필요해 고주파나 레이져 시술시 신경손상이 우려되는 경우에 베나실, 클라리베인등을 추천하고, 스타킹을 신고 싶지 않거나 멍,이나 흉터 (정맥발거술)을 최소로 하고 싶은 경우에 베나실을 추천해드리기는 하지만 절대적으로 베나실로 해야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베나실만 추천하거나 베나실만 하는병원은 인정비급여(실손보험이 가능한 비급여)제도를 악용하여 고액의 수술비를 청구하기 위한 병원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가지 치료법이 가능한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본인 경제상황과 건강상태, 혈관상태 등 니즈에 맞는 치료법을 상담후에 정하시는것이 가장 치료후 만족도가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링크는 참고 영상입니다
https://youtu.be/2l7lO8DNalc?si=CUcTqX6I54CKF1-J